발의자 |
김동희 |
제출 날짜 |
|
(ex: 2025.03.20) |
2025.03.21 |
문제: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도 보컬 트레이닝을 받는 것은 심적,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다.
<aside>
한 줄 요약
혼자 집이나 코인 노래방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AI 보컬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면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더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발성 트레이닝을 받아볼 수 있을 것이다.
</aside>
(수치화한 버전: 현재 대면으로 보컬 레슨을 받고 있는 인원과 같은 규모의 사람들이 AI 보컬 트레이닝에 쉽게 접근해 볼 수 있을 것이며, AI를 활용한 맞춤형 솔루션 제시로 대면 레슨보다 학습률이 20% 이상 증가할 것이다.)
섹터
: 가설이 속한 산업분야 (미디어 콘텐츠)
- 에듀테크 - AI/게이미피게이션
- 엔터테인먼트/음악
배경
: 가설을 발의한 이유, 가설이 도출된 맥락, 문제의 중요성
시장성
- 한국의 음악 교육 시장은 약 1조 7,000억 원 규모로 상당히 큰 시장
- 그러나, 이 중 보컬 트레이닝 시장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. 이는 보컬 트레이닝의 높은 진입장벽과 제한된 접근성 때문으로 분석됨.
- 우리가 가진 성대라는 악기는 모두가 가지고 있으며 연주해 본 경험이 있고 잘 연주했을 때 가장 멋있는 악기임. 진입 장벽과 접근성을 개선한다면 충분한 시장 성장 가능성이 있음.
- 글로벌 온라인 음악 교육 시장은 2024년 약 170억 달러에서 2033년까지 732억 7,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, 이는 연평균 성장률(CAGR) 17.63%에 해당함.
- K-Pop의 세계적인 인기로 인해 보컬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, 이는 국내 보컬 트레이닝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시사함.
접근성
- 코인 노래방 확산으로 혼자/친구와 노래 부르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 늘어남
- 하지만 노래는 타고난 것이라 늘기 어렵다는 인식이 만연하여 심적으로 노래를 배우는 것에 대해 부담